- 조류의이해
- 조류도감
- 내가본 새
서브메뉴 목록
탐조 수칙
- 1. 조용히 천천히 다닌다.
- 새들이 놀라 도망가지 않도록 조용히 행동한다. 새들은 위협을 느끼면 날아가거나 활동이 위축된다.
- 천천히 살금살금, 자세는 낮추는 것이 좋다.
- 2. 눈에 띄지 않는 복장을 준비한다.
- 활동하기 편한 옷을 입고, 화려한 옷이나 눈에 잘 띠는 색깔(붉은색, 황색, 백색 등의 원색)은 입지 않는다.
- 녹색계열이나 갈색계열 등 주위환경과 비슷한 복장 모자가 가장 좋다.
- 3. 멀리서 관찰한다.
- 새들은 감각기관이 예민하므로, 가급적 30미터 이상 떨어져 쌍안경 등으로 지켜보는 것이 좋다.
- 텐트나 차 안에 가만히 있으면 새들이 가까이 다가오기도 한다.
그림그림새를 관찰하며 수첩에 기록하는 학생들
- 4. 자신이 관찰한 것을 비교, 기록한다.
- 자신이 알지 못하는 새로운 새들을 만나는 경우가 많으므로, 조류도감을 준비한다.
- 수첩, 필기도구 등을 이용해 자신이 관찰한 것을 기록하고, 다른 자료들과 비교한다.
- 5.둥지는 손대지 않는다.
- 자신이 알지 못하는 새로운 새들을 만나는 경우가 많으므로, 조류도감을 준비한다.
- 수첩, 필기도구 등을 이용해 자신이 관찰한 것을 기록하고, 다른 자료들과 비교한다.
- 번식기(4월~7월)에는 새들이 번식하는 지역에 들어가지 않고, 쌍안경 등으로 보는 것이 좋다.
- 6. 돌을 던지지 않는다.
- 직접 맞지 않더라도 새들은 놀라게 되거나, 날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.
- 부상당한 새는 대부분 죽게 되므로 절대 돌을 던지지 않는다.
- 7. 몰려다니지 않는다.
- 눈에 띄기 쉽고 소란스러워 새들이 미리 피하므로 몰려다니지 않는다.
- 명 정도씩 작은 그룹으로 다니는 것이 좋다.
그림갯벌에서 먹이를 찾는 물새들
- 8. 사진을 찍을 때는 이런 점을 주의해야 한다.
- 관찰을 위해서 나무를 꺾거나 주변의 풀, 돌을 없애면 안된다. 고무줄을 이용하면 좋다.
- 둥지 주변에서 오래 머물면 곤란하다.
- 9.바닷가의 물새는 만조 전후 1~2시간에 관찰하기에 좋다
- 만조 2~3시간 전, 미리 관찰하기 좋은 장소에서 대기한다.
- 만조는 국립해양조사원(http://www.nori.go.kr)의 조석정보에서 알아볼 수 있다.
- 10. 자동차를 이용할 경우
- 차에서 내리거나 소리치지 않는다. 엔진소리도 조용히...
- 길이 아닌 곳으로 다닐 경우, 땅위에 있는 둥지를 망가뜨릴 수 있다.
- 11.자연을 보호한다.
- 낚싯줄과 바늘은 새들에게 위험하니 바로 수거한다.
- 휴지를 버리거나 나무, 풀, 자연물을 채집하거나 훼손하지 않는다.
조류 관찰을 위한 광학기기 사용법
쌍안경
- 1. 쌍안경 준비
- 쌍안경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새를 관찰하는 도구이다. 5m ~ 30m 정도의 거리가 적당한 사용범위이며, 너무 비싸지 않으면서도 휴대가 간편한 것이 좋다.
그림쌍안경의 표시
- 새를 관찰하는데 적당한 쌍안경
- 배율 : 7 ~ 8 배가 적당하다.
- 배율이 높으면 크게 보이기는 하지만, 흔들림이 많고 보려는 새를 찾기가 쉽지 않다.
-
- 대물렌즈 지름 : 30 ~ 35 ㎜가 적당하다. 대물렌즈의 지름은 클수록 밝게 보이지만 그만큼 렌즈도 커지고 쌍안경이 무거워진다.
- 배율 : 7 ~ 8 배가 적당하다.
- 2. 쌍안경 사용법
사람마다 시력이 다르므로 조절하여 사용해야 하는데, 제대로 조절하지 않은 채로 사용하면 눈이 금방 피로해 진다.
- 쌍안경을 접듯이 꺾어서 시야가 하나의 원에 겹치도록 한다.
양쪽 눈의 간격은 사람마다 다르므로, ‘안폭환’을 보고 자신의 양쪽 눈의 간격을 알아두면 편리하다. - 목표물을 하나 정하고 우선 왼쪽 눈으로 본다.
- 초점이 맞도록 가운데에 있는 ‘조절링’을 돌린다.
- 왼쪽 눈을 감고 오른쪽 눈으로 본다.
- 양쪽 눈의 시력이 달라 초점이 안 맞으면 ‘시도조절판’을 돌려 초점을 맞춘다. 자기 시력에 맞는 눈금을 알아두면 편리하다.
- 두 눈으로 번갈아 보면서 양 눈이 선명한지 확인한다. 목표물이 하나로 뚜렷이 보이면 조정이 잘 된 것이다.
- 쌍안경으로 새를 찾아 초점조절링을 돌리면서 관찰한다.
- 나무 위의 새를 찾을 때는 새가 앉아 있는 나무 밑에서부터 위로 움직여가며 새를 찾는다.
- 쌍안경을 접듯이 꺾어서 시야가 하나의 원에 겹치도록 한다.
망원경
망원경은 50m 이상의 비교적 먼 거리에서 새를 관찰할 때 사용하는 도구로, 배율이 높기 때문에 삼각대를 사용해야 한다.
- 1. 망원경과 삼각대 준비
- 망원경
- 20 ~ 45배의 싸거나 비싸지 않은 중급 기종을 사용한다. 구경이 클수록 밝다.
- 아이피스는 고정배율보다는 주밍이 되는 것이 좋다.
- 삼각대
- 튼튼한 것일수록 좋으나 무게가 많이 나가므로, 2kg 전후의 적당한 무게의 것을 고른다.
- 삼각대 위에 망원경을 올려놓는 헤드는 3-way 헤드보다는 보급형 비디오헤드나 볼헤드가 다루기 쉽다.
- 망원경
그림망원경으로 새를 관찰하는 학생
- 2. 망원경 사용법
- 배율 : 7 ~ 8 배가 적당하다.
- 배율이 높으면 크게 보이기는 하지만, 흔들림이 많고 보려는 새를 찾기가 쉽지 않다.
- 대물렌즈 지름 : 30 ~ 35 ㎜가 적당하다.
- 대물렌즈의 지름은 클수록 밝게 보이지만 그만큼 렌즈도 커지고 쌍안경이 무거워진다.
- 배율 : 7 ~ 8 배가 적당하다.
- 개인정보보호정책 | 이메일주소수집거부 | 이용약관 | 찾아오시는길
COPYRIGHT(C) 한국의새 ALL RIGHTS RESERVED.
- 조류도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