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조류의이해
- 조류도감
- 내가본 새
조류도감 Home > 조류도감 > 조류도감
초원때까치(가칭)
이름
(북한명)초원때까치(가칭)
.영명 Steppe Grey Shrike 목/과 참새목 > 때까치과 일본명 フィリピンモズ 주요종 중국명
(대만명)南方灰伯劳
학명 Lanius meridionalis 러시아명 Пустынный сорокопут 외국을 오가는 철새 한국-한국-한국 도래현황 길 잃은 새
전반적인 분포를 봐서는 우리나라에서 발견될 만한 새가 아닌데 비행하다가 길을 잃었거나 폭풍우 등에 떠밀려 한국에서 관찰되는 새
관찰시기 관찰빈도 희귀 번식지유형 . 서식지유형 . 주요번식지 . 주요서식지 (중앙아시아, 아프가니스탄, 파키스탄, 몽골) 외형 <성조> 외형상 물때까치와 거의 같지만 전체적으로 엷은 색을 띰. 크기는 큰재개구마리 정도. 검은 눈선은 매우 폭넓음(눈앞은 거의 흰색으로 보이는 개체도 있음). 앉아 있을 때 날개에 흰반점이 하나로 보이며, 셋째날개깃 끝의 흰색이 폭넓음. 비상시 날개의 흰 줄무늬는 첫째날개깃에만 보임. 허리는 위꼬리덮깃보다 더 엷은 색. 몸 아랫면에 비늘무늬가 없으며 보통 가슴과 가슴옆에 엷은 살빛을 띰. <1회 겨울깃> 몸 윗면은 엷은 갈색기운이 있는 회색. 눈뒤의 눈썹선은 성조보다 폭이 좁으며, 흑갈색을 띰. 몸 아랫면에 줄무늬가 없음. 부리 . 꼬리 위꼬리덮깃은 회색 혹은 흰색, 바깥쪽 꼬리깃이 중앙꼬리깃보다 약간 짧은 정도로서 물때까치처럼 길이 차이가 심하지 않음. 크기 전체길이(L): 25Cm 생활방식 . 사냥방식 . 먹이 . 기타 다른 아종과 달리 번식 후 남쪽으로 장거리 이동을 함. <실태> 최근(1993년)에 큰재개구마리에서 독립된 별개의 종으로 분류하였음. 현재까지 물때까치, 큰재개구마리와 국내에도 찾아올 것으로 판단되는 초원때까치(가칭)와의 차이를 명확히 설명하는 자료가 부족함. 이는 지리적 아종이 많아 명확한 식별이 어렵기 때문. 따라서 본 종을 큰재개구마리로 잘못 동정하거나 간과할 가능성 매우 높음. PJG - 개인정보보호정책 | 이메일주소수집거부 | 이용약관 | 찾아오시는길
COPYRIGHT(C) 한국의새 ALL RIGHTS RESERVED.
- 조류도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