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조류의이해
- 조류도감
- 내가본 새
조류도감 Home > 조류도감 > 조류도감
흰이마기러기
이름
(북한명)흰이마기러기
흰이마기러기[흰이마쇠기러기]영명 Lesser White-fronted Goose 목/과 기러기목 > 오리과 일본명 カリガネ 주요종 멸종위기-멸종위기2급
IUCN-VU중국명
(대만명)小白额雁
학명 Anser erythropus 러시아명 Пискулька 외국을 오가는 철새 시베리아-한국-중국 남부 도래현황 겨울철새
시베리아, 북극 인근 지역 등에서 새끼를 낳고 늦가을 즈음 한국으로 와서 겨울을 나고 봄에 다시 돌아가는 기러기 같은 새
관찰시기 관찰빈도 드묾 번식지유형 (풀숲으로 덮인 툰드라) 서식지유형 강 하구나 농경지, 호수 주변 등 주요번식지 (시베리아북부, 북아메리카북부 등 북극에 가까운 툰드라지대) 주요서식지 겨울철에 서산, 금강 낙동강 등 한국, 일본, 중국남부, 대만, 인도 등지로 이동하여 월동 외형 <성조> 몸은 회갈색으로 등 쪽이 더 진함. 가슴 쪽은 불규칙한 검정색 가로줄무늬가 있고, 배는 흰색. 전체적으로 쇠기러기와 비슷하지만 보다 작고 이마의 흰색 부분이 넓으며, 노란색 눈테가 선명함. 다리는 황색. 앉아 있을 때는 다른 기러기류와 달리 날개깃이 꼬리 뒤로 나옴. <어린새> 이마의 흰색 부분이 뚜렷하지 않으며 눈테도 선명하지 않음 부리 오리부리형 - 부리는 짧고 분홍색을 띰 꼬리 . 크기 전체길이(L): 58Cm
날개길이(W): 36Cm생활방식 쇠기러기 무리 속에서 생활 사냥방식 주워 먹기 먹이 연한 풀잎이나 나뭇잎, 벼, 보리, 밀 등의 낙곡 등 기타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기러기류 중 가장 작음.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철에 서산, 금강 낙동강 등, 강 하구나 농경지, 호수 주변 등지에서 쇠기러기 무리와 섞여 드물게 관찰됨 - 개인정보보호정책 | 이메일주소수집거부 | 이용약관 | 찾아오시는길
COPYRIGHT(C) 한국의새 ALL RIGHTS RESERVED.
- 조류도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