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조류의이해
- 조류도감
- 내가본 새
조류도감 Home > 조류도감 > 조류도감
흰점찌르레기
이름
(북한명)흰점찌르레기
흰점찌르러기영명 Common Starling 목/과 참새목 > 찌르레기과 일본명 ホシムクドリ 주요종 중국명
(대만명)紫翅椋鸟
欧洲八哥학명 Sturnus vulgaris 러시아명 Обыкновенный скворец 외국을 오가는 철새 시베리아-없음-한국 도래현황 길 잃은 새
전반적인 분포를 봐서는 우리나라에서 발견될 만한 새가 아닌데 비행하다가 길을 잃었거나 폭풍우 등에 떠밀려 한국에서 관찰되는 새
관찰시기 관찰빈도 드묾 번식지유형 나무구멍이나 바위틈, 건물, 지붕 틈, 흙벽의 구멍, 인공둥지 서식지유형 농경지나 개활지, 야산 주요번식지 시베리아북부, 유럽북부 등 아한대 지역 주요서식지 남부지방(천수만, 해남, 제주도) 외형 여름깃은 자주빛 광택이 나는 검은색이며, 곳곳에 흰색 반점이 있다. 등, 날개, 꼬리깃 가장자리는 회갈색을 띤다. 겨울깃은 몸 전체에 흰색과 갈색 반점이 빽빽하게 있다. 부리 여름깃은 노란색, 겨울깃은 갈색 꼬리 검은색, 가장자리는 회갈색 크기 전체길이(L): 21Cm 생활방식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지만, 땅 위를 걸어 다니며 먹이를 찾기도 한다. 사냥방식 . 먹이 나무열매, 곤충, 거미, 지렁이, 개구리, 달팽이 기타 - 개인정보보호정책 | 이메일주소수집거부 | 이용약관 | 찾아오시는길
COPYRIGHT(C) 한국의새 ALL RIGHTS RESERVED.
- 조류도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