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조류의이해
- 조류도감
- 내가본 새
조류도감 Home > 조류도감 > 조류도감
고산대머리수리(가칭)
이름
(북한명)고산대머리수리(가칭)
.영명 Himalayan Griffon 목/과 매목 > 수리과 일본명 ヒマラヤハゲワシ 주요종 IUCN-LC 중국명
(대만명)高山兀鹫
학명 Gyps himalayensis 러시아명 Кумай (снежный гриф) 외국을 오가는 철새 한국-한국-한국 도래현황 길 잃은 새
전반적인 분포를 봐서는 우리나라에서 발견될 만한 새가 아닌데 비행하다가 길을 잃었거나 폭풍우 등에 떠밀려 한국에서 관찰되는 새
관찰시기 관찰빈도 희귀 번식지유형 . 서식지유형 고산 지대에서 서식하며, 겨울철에는 약간 낮은 지대로 이동함(일부 어린새는 평지까지 이동하는 경우도 있음). 주요번식지 . 주요서식지 (파키스탄 북부, 인도 북부, 티벳 남부, 네팔, 부탄에 이르는 히말라야산맥 일대와 중국 서부(천산산맥과 알타이산맥)) 외형 독수리보다 약간 큼. Eurasian Griffon과 비슷함. <성조> 검은색 날개와 꼬리깃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노르스름한 색(미색), 황갈색, 모랫빛 흰색을 띰. 머리는 매우 엷은 색. 다리는 살색. 비상시 아랫날개덮깃은 미색, 나머지 날개는 검은색. <어린새> 몸 윗면은 어두운 갈색을 띠며, 큰날개덮깃을 포함하여 모든 날개덮깃에 엷은 황갈색 또는 흰색 줄무늬가 흩어져 있음. 몸 아랫면은 흑갈색 바탕에 흰색 줄무늬가 흩어져 있음. 목덜미에 흰색 기운이 강함. 몸 안쪽의 넓적다리는 흰색을 띰. 부리 독수리부리형- 밝은색을 띠며 짧고 육중함. 꼬리 . 크기 전체길이(L): 120Cm 생활방식 . 사냥방식 . 먹이 동물의 사체 기타 국내는 2007년 2월 11일 경남 진주 수곡부근에서 어린새 1개체가 관찰되었을 뿐임. <어린새> 전체적으로 성조보다 더 어두운 색을 띠며, 몸 윗면은 적갈색이 강함. 몸 윗면의 큰날개덮깃은 날개깃처럼 어두운 색을 띠며, 밝은색의 줄무늬가 없고, 깃끝이 약간 밝은 색을 띰. 가운데날개덮깃과 작은날개덮깃에 불명확한 밝은 색의 줄무늬가 있음. 몸 아랫면은 몸 윗면보다 적갈색이 약하며, 깃축에 흰색 줄무늬가 명확함. 목덜미는 담황색을 띰. - 개인정보보호정책 | 이메일주소수집거부 | 이용약관 | 찾아오시는길
COPYRIGHT(C) 한국의새 ALL RIGHTS RESERVED.
- 조류도감